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2. 돌고 도는 자음들

본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비버밍입니다

이제 저번 글에 이어서
②번을 살펴보도록 하죠.
음.. 여기서 잠깐 우리가 어려서
영어 공부 처음 했을 때
노트에다가 알파벳 써보면서
외웠던 때를 생각해 볼까요?
그때 철자들이 헷갈렸던 경험 있으신가요?
(저만 있었던 경험인가요 ㅠ_ ㅠ)

실제로 옛 시대의
영어권 문화를 가진 사람들도
처음에 알파벳을 사용할 때
철자의 비슷한 모양 때문에
헷갈려하면서 사용했고
그것이 굳어져 지역마다
약간의 철자 구성에 차이를 보이며
단어가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관련 철자(알파벳)들로는

b d g h p q
v w u
m n r s

이런 녀석들이 있어요.
비슷해서 헷갈렸던 기억이 나시나요?
의문이 들 수 있으니
이제 철자에 해당하는
예시를 몇 가지만 살펴볼게요.

bulb
[벌브]
(볼록 튀어나온 모양의) 전구
bulge
[벌지]
볼록 튀어 나온 것

위의 사진처럼 '전구'를 영어로 'bulb'라고 하죠?
요새 전구는 다양하지만
초기의 전구 모양은
저렇게 볼록 튀어나온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bulb'와 'bulge'라는 단어는
철자 'b'와 'g'에서 차이가 있지만
볼록 튀어나온 모양과 관련되어 있다는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죠?

-que -gue
라틴어 접미사

이 녀석들은 라틴어 계열의
접미사라고 하는데요
접미사는 뜻을 나타내지 않고
품사를 정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쟤네들이 붙으면 주로
단어의 품사가 명사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bump
[범프]
hump
[험프]
볼록 튀어나온 것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자동차에서 툭 튀어나온 앞부분을
'범퍼(bumper)'라고 부르죠?
사람 몸에 '혹'이 나면
툭 튀어나와 있는 것처럼
bump는 '혹, 덩어리'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는 단어입니다.
hump는 'b'에서 'h'로만
철자가 바뀌었네요.

group
[그룹]
그룹, 무리
greg
[그뢕]
무리, 떼와 관련된 어근

위에서 몇 개의 단어 예를 보시니까
슬슬 단어를 보는 감이 오시지 않나요?
여기 보이는 group과 greg는
'p'와 'g'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철자의 변화에서 모음은
'돌고 도는 모음들' 기억하시죠?
모음에 대해서 안 읽어보신 분들은
'돌고 도는 모음들' 글로 가셔서
읽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반응형

 

 


이제 다음으로 가볼까요

v w u

알파벳 'w'는 단어의 형성 원리가
'v'가 두 번 합쳐진 모양이고,
발음은 [더블유]라고 발음했습니다.
(u가 더블(double)! 두 개라는 의미)
'w'에 대한 형성 원리와 발음만 보아도
세 가지의 철자들이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죠?
가장 쉬운 단어로 확인을 한 번 해보자면

wine
[와인]
포도주
vine
[바인]
포도나무

둘 다 '포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거예요!


이제 마지막 녀석들을 살펴볼까요?

m n r s

알파벳'm'은 'n'을 두 번
겹쳐 써놓은 모양이죠?
알파벳'r'은 'n'에서 획을
애매하게 표기하면 충분히
나타날 수 있는 모양이죠.
알파벳's'는 알파벳 'm'이나 알파벳 'N'처럼 구불구불한 모양이
초반에 철자를 외우는 데에
헷갈리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였습니다.
(살짝 번외이지만
알파벳'm'은 알파벳'w'를
뒤집어 놓은 모양이기 때문에
실제로 두 철자를 다르게 하여
언어유희처럼 단어가 사용되기도 하였음을
나중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몇 개의 단어들로 한번 살펴볼게요.

one
[원]
하나의
omni-
[옴니]
전체

위의 단어를 보면 m과 n이 함께 쓰이면서
단어들이 '하나'라는 의미로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전체'와 '하나'가 무슨 관계일까 하는
의문이 생길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살짝 관점을 바꿔보면
부분은 여러 개를 의미하지만
전체를 하나를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require
[리콰이어]
요구하다, 요청하다
requistion
[리퀴지션]
요구, 요청

'require'라는 단어는 품사가 동사입니다.
이 녀석을 '명사'로 바꿔 준 단어가
'requistion'인데요 이때
철자 'r'과 's'가 바뀌어 쓰였음을
확인해 볼 수가 있겠네요.


이렇게 '돌고 도는 자음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 많은 단어들을 학습해가면서
더 많은 예(example)들을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이번 글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영어 단어를 공부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그럼 저는 다음 글 '유무 법칙'으로 찾아뵐게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