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버밍이에요~!
오늘도 아주 썰렁한 퀴즈로 시작해볼까 해요!
Q. 세종대왕이 다녔던 고등학교는?
A. 가갸거겨 고교
↑여기를 스크롤해보세요!
단어 학습이 쉽지 않지만
그래도 꾸준히 하면 결국엔
기억에 남게 되는 것 같아요.
다들 파이팅하시고!
오늘 배울 단어부터 다시 시작해볼까요?
오늘 볼 첫 번째 단어는
'achieve'입니다.
단어 | 품사 | 의미 |
achieve [어취브] |
동사 | 성취하다, 얻다 |
여러분 혹시 컴퓨터에서 인터넷 서핑하시면서
SNS에서 '아카이브'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이해를 돕기 위해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문서고이고
문서고는 각종 문서들을 저장하는 창고입니다.
두 번째 사진의 내용은 페이스북에서
아카이브 메뉴에 대한 설명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페이스북에서 아카이브 메뉴는 여러 가지
회원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보이네요.
두 개로 확인할 수 있는 공통점은?
'아카이브'란
무언가를 보관하는 저장의 개념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단어 | 품사 | 의미 |
archive [아카이브] |
동사 명사 |
문서를 보관하다 문서 보관소 |
이제 영단어 학습 전에 배웠던 지식들을 써먹을 차례네요.
a | c | h | i | e | v | e |
vs | ||||||
a | r | c | h | i | v | e |
①유무 법칙
=> 철자 'r'은 생략이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②돌고 도는 모음 법칙
=> 모음끼리는 서로 '교환' or '축소' or '추가'가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었죠.
이렇게 두 개의 법칙에 의해서
두 단어에서 철자'r'과 'e'만 빼놓고 보면
똑같은 단어의 모양을 갖게 되죠?
철자가 비슷해 보이는 단어나
발음이 비슷하다면
그 단어들의 의미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게 됩니다.
철자가 추가 or 생략 or 교환되면서
단어의 의미가
①유의어 관계 : 확장 or 축소
②반의어 관계 : 반대 의미 or 반대 입장(상황) or 반대 방향
등의 관계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죠.
(이 점을 꼭 기억해주시고
철자가 비슷해 보이는 단어들이
어떤 연관성이 있을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단어 암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achieve'가 갖는 '성취하다'라는 의미와
'archive'가 갖는 '저장하다'라는 의미는
이렇게 서로 같은 방향성을 갖는
'유의어'의 개념인 거죠.
다음 단어는
'acid'라는 단어네요.
단어 | 품사 | 의미 |
acid [애시드] |
형용사 명사 |
산 성분의, 신맛이 나는 산 |
'acid'는 '산성'이라는 뜻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염기성)'을 뜻하는
'alkaline'과 비교하며 외우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acid'와 'alkaline'
이 두 단어를 보시면서
뭔가 비슷한 부분이 보이시나요?
그림에도 제가 색깔로 표시해 두었지만
'acid'의 철자 'ac' 부분과
'alkaline'의 철자 'alk' 부분이
비슷해 보이지 않나요?
돌고 도는 자음들에서
'c'와 'k'는 철자 교환이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었고
유무 법칙에서
'l'은 '생략' or '추가'가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었죠?
'acid'의 철자'ac'가 'alk'로 바뀌면서
반의어 관계가 형성되는 것을 살펴보면,
'a'와 'c' 사이에 철자 'l'이 추가되고
'c'가 'k'로 바뀌면서
ac는 산성을 의미하고
alk는 반대 성질인
알칼리성(염기성)을
의미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acid'는
ac (산성을 의미) + id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런 형태의 구조로 볼 수 있고
'alkaline'은
alk (알칼리성=염기성)+ al(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 ine(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런 형태의 구조로 볼 수 있습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단어를 공부할 때
어떤 단어가 먼저 만들어졌고
어떤 단어가 나중에 만들어졌는지를
아는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배웠던 철자 변형 방식을 기준으로
외우고자 하는 단어들이
어떤 단어와 연결되어 철자가 변형되고
의미가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단어 암기를 하는 데에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achieve
acid
이 2개 단어만
써보았는데도
설명이 너무 길어졌네요 ㅠㅠ
저의 글 실력이 모자란 탓이겠지요
그렇지만
조금이라도 제 글을 읽어 주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며
글 실력 또한 더 가다듬어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다음 단어 설명에서 뵐게요!
댓글 영역